OS/Linux

[ssh] 접속 시 인증키 사용 (authorized_keys)

김개발^^ 2022. 7. 14. 15:35
반응형

Local에서 key 생성

$ cd ~/.ssh
$ ls
$ ssh-keygen -t rsa

 

public key: remote 접속할 server의 .ssh/authorized_keys 파일 만들고 key 복붙

private key: ssh config의 IdentityFile에 해당 경로를 적어줌

 

vscode에서 remote ssh 설치하고 F1 누르고 ssh 쳐보면 관련 기능을 쓸 수 있음..

경로 따라가기 귀찮아서 ssh config 파일도 vscode에서 Open SSH configuration file 기능으로 불러와서 수정하는 편이다

Host lab_ubuntu
    HostName xxx.xxx.x.xxx
    User username
    Port 22
    IdentityFile ~/.ssh/id_rsa

 

이런 식으로 적어주면 됨.

그리고 다시 F1 누르고 Connect to Host 선택하고 원하는 host명 선택해주면 접속된다.

 

접속이 안되는 경우엔

 

1. remote server의 ssh 관련 권한 체크

$ chmod 700 ~/.ssh
$ chmod 600 ~/.ssh/id_rsa
$ chmod 644 ~/.ssh/id_rsa.pub
$ chmod 644 ~/.ssh/authorized_keys
$ chmod 644 ~/.ssh/known_hosts

권한이 이렇게 설정되어있어야 정상 작동함

 

그래도 안된다면,

 

2. /etc/ssh/sshd_config 체크

  • Authorizedkeysfile .ssh/authorized_keys 

경로에 맞게 위 옵션이 활성화되어있어야 함

  • PubKeyAuthentication yes 

이것도 넣어야한다는 얘기가 있던데 난 ubuntu 기준 주석처리 되어있는데도 정상적으로 접속이 됐다.

 

그 다음에 ssh service를 restart 해주면 되는데... 이상하게 나는 restart 안하고도 접속이 되더라(?)

 

ubuntu

root@devkimke$ service ssh restart

centos

[root@devkimke ~]$ service sshd restart

 

반응형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, cuda 설치  (0) 2023.05.24
VScode로 matlab 설치 안될 때(ubuntu terminal 접속 시)  (0) 2023.04.29
ls 명령어 파일 사이즈 옵션  (0) 2023.01.13
Slurm 사용법인데 ipynb를 곁들인..  (0) 2022.04.18
[Ubuntu] PATH 설정  (0) 2022.03.23